지난 5일에는 국세청이 파워블로거의 전자상거래 교란 행위를 조사하기로 하고 위법사실이 발견될 경우 세무조사에 착수한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공정거래위원회도 최근 파워블로거의 기만적 제품 추천 행위에 대해 ‘추천·보증 등에 관한 표시광고 심사지침’을 개정하고 거짓 행동이 들어나면 제재를 가하기로 했다.
앞으로 파워블로거들이 업체로부터 홍보 수수료를 받고 글을 올리는 경우 방문자들에게 ‘스폰서 글’이라는 사실을 정확히 기재해야하도록 만든 것이다. 위반 시에는 대가를 제공한 자와 함께 처벌을 받게 된다.
이번 논란은 한 파워블로거가 하자 있는 제품의 공동구매를 진행하면서 시작됐다. 제품을 사용한 사람들이 부작용을 호소하며 환불을 요구했지만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이다.
해결을 촉구하는 글들이 수백개씩 올라오는 도중 기술표준원에서 해당 제품에 자발적 ‘리콜 권고’를 내리고, 공동구매를 시작한 파워블로거가 업체에 한 대당 7만원의 수수료를 받기로 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태는 걷 잡을 수 없이 확산됐다.
인기 블로거들이 기업의 후원을 받아 제품 홍보를 한다는 소문이 있긴 했지만 실제 거액의 커미션이 오간 사실이 확인된 것은 처음이었기에 충격도 컸다.
결국 공동구매로 피해를 본 사용자들은 해당 파워블로거와 제품을 만든 기업에 정당한 피해 보상을 요구하는 카페를 만들기에 이르렀다.
이 카페는 현재 가입자가 8천명이 넘어섰고 공동구매의 피해를 본 네티즌들은 환불과 함께 손해배상을 요구하고 있는 상태다.
이번 사태 이전에도 파워블로거들이 갖는 막강한 ‘파워’에 대해 불만과 우려 섞인 목소리가 없었던 건 아니다.
다른 블로거의 리뷰나 사진을 도용해 자신이 직접 사용한 것처럼 글을 작성하는가 하면 스스로 파워블로거를 사칭하며 식당에서 공짜 음식을 요구하기도 한다는 사실이 여러 사이트를 통해 퍼져나가기도 했다.
블로그에 달리는 ‘뱃지’ 하나가 온라인, 심지어 오프라인에서도 막강한 권력과 돈을 쥐게 하는 웃지 못할 풍경이 벌어진 것.
하지만 이번 사태의 중심에 있는 포털업체들은 ‘우리들도 어쩔 수 없는 일’이라는 입장을 보여 책임회피라는 생각을 지을 수 없게 한다.
유명블로거들의 게시물이 검색결과 상단에 노출되게 하고 블로그 마케팅을 펼치는 광고사와 직접적인 연결까지 시켜주는 포털들의 서비스 환경으로 볼 때, 포털사의 행동은 파워블로거들의 ‘그릇된 힘’에 날개를 달아준 것이나 마찬가지기 때문이다.
포털사들은 블로그를 만들고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줄 뿐, 상업적인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개입하지 않겠다는 내용을 ‘블로그 운영원칙’에 명시했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네이버에서는 2009년부터 ‘불법적 활동’이 아닌 이상 블로그에서 이뤄지는 정당한 상업적 활동은 막지 않는다고 밝혔다.
포털업체 측에서는 블로그 활동에 규칙과 제재를 늘리면 오히려 ‘표현의 자유’를 박탈한다는 반발을 살 수도 있기 때문에 규제라는 것에는 항상 신중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포털에서 표기하고 있는 ‘불법적 활동’과 ‘정당한 상업 활동’에 정확한 ‘기준’이 있는지 짚고 넘어가야 한다.
블로그라는 공간은 IT관련 지식이 없는 일반 이용자도 온라인에서 쉽게 글을 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정보의 나눔’역할을 톡톡히 해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긍정적인 영향력을 끼칠 것이라고만 생각했던 블로그에 부작용이 대두된 이상 포털업체에서는 바른 블로그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올바른 환경 조성에 힘써줘야 할 것이다.
블로그 이용자들 역시 ‘파워블로그’라는 이름 앞에 맹목적인 추종만 해오지는 않았는지 되짚어볼 때다.